우리가 사용하는 인프라의 용량이 부족하여 용량 확장을 고려할 때 스케일 업 또는 스케일 아웃이란 단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오늘은 인프라 확장의 방법 중 스케일 업(Scale-up)과 스케일 아웃(Scale-ou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케일 업 (Scale-up)
스케일 업은 말 그대로 스케일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입니다.
즉, 기존의 서버를 업그레이드 하여 더 용량이 크고 성능이 좋은 서버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으로
DataBase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디스크를 추가하는 방법 혹은 컴퓨터의 CPU, Memory의 성능을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
기존 서버의 성능을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라 수직 스케일링 (Vertical Scaling) 이라고도 합니다.
2. 스케일 아웃 ( Scale-out)
스케일 아웃은 기존에 사용하던 사양과 비슷한 사양의 서버를 여러대 추가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서버를 추가하여 확장하는 방식이기에 수평 스케일링 (Horizontal Scaling) 이라고도 합니다.
보통 하드웨어의 제한으로 더 이상 업그레이드가 불가할 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처리하는 분산처리의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스케일업과 스케일아웃의 장단점
스케일 업 (Scale-up) | 스케일 아웃 (Scale-out) | |
장점 | 구조가 단순하여 빠르고 쉽게적용할 수 있다 | 분산처리가 가능하여 부하가 줄어든다 성능 확장에 한계가 적고 지속적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로드밸런싱을 통한 분산 처리가 가능하여 장애 발생 시 무중단 운영이 가능하다 |
단점 | 성능 확장에 한계가 있다 성능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폭이 크다 인프라 장비가 1대로 운영되어 부하가 클 수 있고 장애 시 영향도가 크다. |
분산처리 아키텍쳐를 잘 고려하여야 하고 구조가 복잡하다 인프라 장비가 여러대로 구성되어 있어 관리가 힘들 수 있다. |
3. 자동 스케일링
자동 스케일링은 자동확장이라고 하며 시스템의 성능 요구 사양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 리소스를 자동으로 맞춰주는 기능입니다.
트랜잭션이 많거나 작업이 많아 리소스가 더 필요한 경우에는 서버에 리소스를 자동으로 추가해주고
작업이 많이 없는 한가한 시점에는 리소스가 많이 필요 없으므로 서버에 리소스 할당을 줄이는 기능입니다.
자동 스케일링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유연성 및 탄력성을 바탕으로 시스템 운영자의 의사 결정 없이 자동으로 의사결정을 내려주기 때문에 오버헤드를 줄여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IT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Tree) 개념, 용어, 종류(완전 이진트리, 전 이진트리, 포화 이진트리) (4) | 2023.01.24 |
---|---|
[저장소] RAID의 개념, 목적 및 종류(RAID LEVEL) (5) | 2023.01.23 |
Failover 란 무엇인가? 개념 및 설명 (4) | 2023.01.18 |
[티스토리]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 간단 체크 오류 (3) | 2023.01.17 |
Call by value와 Call by reference 차이 (2) | 2023.01.16 |
댓글